티스토리 뷰
목차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이 다가왔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이 된다면, 지급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금액까지 확인해보세요. 비슷한 조건인데도 누군 얼마 받았고, 누군 얼마 받았다는 이야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조건별 근로장려금 최대 금액은 얼마인지 확인해보세요!
근로장려금 금액
근로장려금 금액은 가구 유형과 연간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먼저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이 되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2025년 기준, 가구 유형별 근로장려금 금액 최대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유형 | 최대 지급액 |
단독가구 |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 330만 원 |
근로장려금 지급 방식 및 산정구간
근로장려금 금액은 가구 유형과 연간 총소득, 재산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지급액이 많고,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급액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데요. 지급액 산정은 '점증구간'(소득이 늘수록 지급액 증가 구간), '평탄구간'(최대 지급액 고정), '점감 구간'(소득이 늘수록 지급액 감소)으로 나뉩니다.
소득 구간별 지급 예시 (맞벌이 가구 기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 600~800만 원: 점증 구간(지급액 증가)
✅ 소득 800~1,700만 원: 평탄 구간(최대 지급액 330만 원)
✅ 소득 1,700만 원 초과~4,400만 원 미만: 점감 구간(지급액 점차 감소)
근로장려금 재산에 따른 감액 및 평균 지급액
재산에 따른 감액
✅ 가구 재산이 1억 7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액의 50%만 지급
✅ 2억 4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
평균 지급액
✅ 2024년 기준, 가구당 평균 지급액은 약 109만 원 수준입니다. 실제 지급액은 가구별 소득과 재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로장려금 금액은 가구 유형, 총소득, 재산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한 금액을 알고 있어야 신청 여부를 결정하고, 기대할 수 있는 지원 규모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본인의 예상 지급액을 확인하고, 꼭 필요한 혜택을 빠짐없이 챙기시길 바랍니다!